맛있는 영화이야기 히 러브스 미 : 과일주, 함부로 드시지 마세요 글: 정영선 2003년 02월 17일 갓 대학에 들어갔을 때 일입니다. 당시는 레몬주등의 과일주가 대학가를 평정하던 시절, 저 역시 그 물결에 동참하고 있었죠. 당시 ‘필름이 끊기는 경험’을 너무나도(!) 해보고 싶었던 저는 결국 제대로 과일주를 만든다는 술집에서 술꽤나 한다는 친구와 대작을 했습니다. 6시부터 시작된 술자리는 야금야금 시간을 먹어치우고 있었고 왠만해선 끝이 날 것 같지 않았죠. 결국 10시 통금시간을 지키기 위해 9시경 자리를 박차고 일어났습니다. (순진한 신입생의 모습이죠? ^^;) 그리고 그 이후의 기억은 없습니다. 주위의 증언에 따르면 9시경 술집을 나선 저는 자정인 12시가 다 되어서야 가족의 품에 안겼다고 합니다. 그러면 그 3시간 동안 어디갔었냐구요? 그건 저도 모르죠.^^
생각대로 풀리지 않는데는 다 이유가 있습니다. 그녀가 상황을 자의적으로 해석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영화는 전반부와 후반부, 안젤리끄의 시선과 루이의 시선으로 나뉩니다. 관객들은 안젤리끄의 말만 믿고 영화를 보다가, 루이의 이야기가 시작하면 그제서야 안젤리끄의 언변에 속았다는 걸 알게 됩니다. 상황은 똑같은데, 이야기는 판이하죠. 이렇게 같은 상황을 다르게 기억하거나 판단하는 경우는 흔히 있는 일입니다. 좀 다른 예이긴 합니다면 홍상수 감독의 영화 <오! 수정>도 그렇고, 에쿠니 가오리와 츠지 히토나리가의 소설들도 그렇고, 우리가 경험하는 순간순간의 모든 것들이 그러니까요. ![]() 하지만 사랑을 집착과 구분한다는 건 얼마나 어려운 일인가요. 어느 심리학자의 말을 빌리자면 ‘사랑의 병리적 체험은 정상적 사랑의 체험과 밀착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겹쳐 있어서 우리의 가장 소중한 체험 가운데 하나인 사랑이 정신병리일 수 있다는 것을 받아들이는 것이 항상 쉽지만은 않다.’고 했으니까요 ![]() 탱글탱글하고 새콤한 과일들로 절여진 과일주는 그저 달콤하기만 합니다. 처음엔 높은 도수의 알콜이 숨겨져 있을 거라 생각하기 쉽지 않죠. 하지만 홀짝홀짝 마시다보면 나도 모르는 새 취하게 됩니다. 그리곤 서너시간쯤 내가 어느 곳에서 무엇을 했는지조차 까맣게 잊게 되는 거죠. <히 러브스 미>의 사랑도 마찬가집니다. 달콤한 그 맛이 약이 될지 독이 될지는 아무도 알 수 없습니다. 우린 이런 지독한 사랑에 빠지게 되면 내가 어디서 무얼하고 있는지 지금의 내 판단이 맞는지조차 까맣게 잊어 버리니까요. This article is from http://www.cineline.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