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  PW    쪽지함쇼핑카트


뉴스
리뷰
기획특집
인물파일
심층기획
숨겨진 영화들
OST Nation
영화강의실
씨네카툰
제2채널
영화제
웹진
뉴스
리뷰
에세이
박스오피스
예고편






영화뉴스


한국과 프랑스 영화는 닮은꼴 :::


이훈범 | 2002년 02월 18일
조회 1661


한국과 프랑스의 영화산업은 여러모로 닮은 꼴이다.

나름대로 자국영화를 보호하는 장치가 있다는 점이 그렇고 그 동안 죽을 쑤다 최근 제2의 중흥기를 맞고 있다는 점도 흡사하다. 거센 개방 압력과 그에 따른 국내외적 논란이 있다는 부분도 같긴 마찬가지다.

'서편제' '공동경비구역 JSA' '친구' 등으로 이어진 한국 영화의 대박 행진은 프랑스에서 '택시' '아멜리에' '아스테릭스' 등으로 대칭된다.

지난해 개봉된 아멜리에는 관객 수가 9백만명에 달했고 아스테릭스는 개봉 2주만에 관객 동원 2백만명을 넘어섰다.

이같은 호조에 힘입어 프랑스의 자국 영화 시장 점유율은 50%로 한국의 46%보다 높다. 보호장치가 크건 작건 효과를 발휘했다는 데는 이견이 없는 것 같다.

프랑스가 한국에 관심을 보이는 것은 이 연장선. 프랑스 하원은 20일 개최하는 '프랑스와 유럽 영화의 미래'세미나에 한국 대표단을 초청했다. 한국의 스크린 쿼터제에 대해 알려 달라는 취지에서다.

이 세미나는 프랑스가 유럽연합(EU) 다른 회원국들에 '영화 살리기'를 한수 지도하겠다는 뜻를 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보다 중요한 것은 할리우드에 맞서기 위해 한국.프랑스가 공동전선을 구축하자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는 점이다.

한국의 스크린 쿼터제에 해당하는 프랑스의 보호장치는 문화산업을 타 산업과 달리 취급하는 '예외성'이다.

프랑스는 문화산업의 무역장벽을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자국영화의 제작.배급 단계에서 국가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다.

한국의 스크린 쿼터도 마찬가지지만 프랑스도 조금 잘 나간다고 해서 문화적 예외성을 당장 거둬들일 수는 없는 노릇이다.

하지만 그것이 만병 통치약이 될 수 없음은 분명하다. 좋은 예가 이탈리아 영화의 몰락이다.

이탈리아는 영화제작 예산의 최고 90%까지 국가 보조금을 지급한다. 그러다 보니 저질 졸속 영화가 양산됐고 영화산업 전체가 멍들어 버렸다.

스크린쿼터와 문화적 예외성은 미국의 집중 공격 대상이다. 프랑스가 공동전선 구축의 필요성을 느낀 것도 공세의 파고가 높아지고 있는 탓이다.

싱겁지만 결론은 뻔하다. 우리 영화의 수준과 경쟁력을 더욱 끌어 올려야 한다는 얘기다.

그러한 노력은 잘 나갈 때 더욱 필요한 것이다. 경쟁력이 떨어진 연후, 관객들의 애국심에 호소할 수는 없는 노릇이기 때문이다.

(중앙)





 이훈범 님의 다른 기사 보기 >>


Readers' Comments


내 의견 쓰기


More Articles to Explore

 

<배틀 로얄> 무삭제 심의 통과 (2002/02/19)
헐리우드의 차별은 어디까지 (2002/02/18)
한국과 프랑스 영화는 닮은꼴 (2002/02/18)
스크린쿼터, 방송쿼터 준수 이상무 (2002/02/18)
<오픈 유어 아이즈> 앵콜 상영 (2002/02/16)

  기사목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