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  PW    쪽지함쇼핑카트


영화들
영화인들
영화회사들
인기순위
영화인 사진
영화/비디오 검색
 (2002, The Ring)
미국, 일본 / 영어 / 공포, 미스테리, 스릴러 / 115분 15세관람가 / 2003년 01월 10일 개봉


출연: 나오미 와츠, 마틴 헨더슨, 데이빗 도프만
감독: 고어 버빈스키
각본: 에렌 크루거
촬영: 보잔 바젤리
제작: 드림웍스, Amblin Entertainment, Kuzui Enterprises, Asmik Ace Entertainment, BenderSpink
배급: CJ엔터테인먼트
홍보: CJ엔터테인먼트

팬 리스트 보기  
예고편  네티즌 리뷰 쓰기
[만족지수]54.54%

작품성  (7/10)
대중성  (8/10)
네티즌  (5/10)
[18명]  



<링> 진화하지 못한 바이러스 (7/10)

글: 윤현호
2003년 01월 18일

조회: 2869

(<링> 이야기를 혹시나 모르신다면 스포일러가 가득 있습니다. 설마 아직까지...)

공포의 '스팸 비디오'와 관련된 소문이 있습니다. 일단 보게 되면 정체불명의 전화가 걸려 오는데, 일주일 뒤 같은 시각에 죽게 된다는 거예요. 방송 기자인 레이첼(나오미 와츠) 은 의문사한 조카의 죽음이 이 비디오와 관련있다는 소문을 듣게 됩니다. 문제의 비디오를 보고 나서야 소문의 진실을 믿게 되지만 그녀에겐 일주일 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비디오에 얽힌 사연을 풀어야 살아남을 수 있는 그녀를 더욱 절박하게 몰아가는 건, 자신의 아들도 비디오를 보고 말았다는 것. 이제 레이첼은 물러설 수 없는 게임에 돌입할 수 밖에 없습니다.

1. 소설이 아닌 영화를 복제하다.

헐리우드 <>이 일본과 한국의 <링>과 다른 점은 스즈키 코지의 소설 <링>을 각색한 것이 한국과 일본의 <링>이라면 미국산 <링>은 소설이 아닌 이미 영상화를 거친 한국과 일본의 영화 <링>을 리메이크했다는 점입니다. 한국 <링>은 스즈키 코지의 원작을 최대한 가깝게 가는 방법을 취했지만 일본 <링>은 원작의 디테일한 상황을 따라가기보다는 소설의 분위기를 재현하는 방식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따라서 한국 <링>이 좀더 직접적인 공포를 보여주는데 반해 일본 <링>은 현학적인 공포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죠.

스즈키 코지의 원작 소설이 아닌 이미 영상화 과정을 거친 대상을 리메이크 한 덕분에 <링>은 성공적으로 관객들에게 받아들여졌던 이미지를 최대한 보전하면서 안전하게 영화를 만들 수 있다는 이점이 생겼습니다. '텔레비전 기어 나오기'나 '유령 사진', '환상 장면에서 생긴 상처' 들의 장면들이 여전히 살아 있죠. 자막이 들어간 외국 영화를 멀리하는 미국 관객들에겐 <바닐라 스카이>의 경우처럼 그대로 장면을 들이밀어도 효과가 먹힐 수 있었습니다.

끊없이 자기 복제를 시도하려는 영화 속 사마라처럼 같은 모양세라 해도 '증식'만 가능하다면 얼마든지 대량 복제를 할 수 있는 거죠. 문제는 규모와 질감이 전작들보다 얼마나 더 거대해졌느냐 입니다. 감히 동양의 낙후된 테크닉으로는 시도할 수 없는 다양한 기술들이 가미된다면 이미 원작에 익숙한 관객들도 감염시킬 거라고 생각했나 봅니다.

2. 진화하기엔 역부족.

새로운 '창조'보다는 '복제'에 치중하며 증식하는데 성공한 헐리우드 <링>은, 그러나 '불멸'을 위한 '진화'과정까지 가기에는 역부족입니다. 충분히 놀랐던 장면이 다시 재현되는 수준에 머물기 때문에 '다른 것' '새로운 것'을 원하는 관객들을 충족시켜 주지 못합니다. 비디오에 담겨 있는 영상물은 한국과 일본 <링>에 비하면 더욱더 구체화되었지만 디테일만 강해졌을 뿐 더 진전한 공포를 주지는 못합니다. <식스 센스>에서 튀어나온 불길한 능력의 남자아이는 이 영화에 보강된 공포감을 주지 못하고 <식스 센스>의 성공한 이미지에 안주하려는 듯한 나약함이 느껴집니다.

<링> 이야기의 가파른 공포감은 하얀 소복 처녀가 텔레비전을 기어 나온 후부터 시작합니다. 스릴러 영화의 관습상 '조금 있다 자막 내려오며 끝나겠군' 하며 뒤돌아 가는 관객의 뒤통수를 후려치는 쾌감이 <링>이 가진 최고의 카타르시스입니다.

글쎄요.. 스즈키 코지가 문자로 표현한 스멀스멀한 공포감을 한국과 일본의 어떤 영화도 제대로 전달했다고 생각하진 않지만 헐리우드 <링>은 그 중에서도 가장 부족해 보입니다. 모든 비밀의 열쇠를 아들에게 쥐어 버린 나머지 술술 말로서 설명해 주는 대목은 너무나 불성실해 보였으니까요.

보태기
미국 관객들도 오래된 우물이 얼마나 으시시한가를 공감할 수있었을까요?

영화에 투덜된 것과는 별개로 나오미 와츠의 메이져리그 진출은 기쁜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 기사의 저작권은 기자 혹은 해당 저작권자에게 있습니다.

내 의견 쓰기



정말스릴있고재밌다..일본판보다잘만든 할리우드의영화링.. 영화매니아 (2003/02/07)
'풀리지 않는 수수께끼'라고 저으이 내리고 싶다 김미라 (2003/01/19)
결코 실망스럽지않다. 일본판과는 다르다.!! (2003/01/13)
끝나지 않은 뫼비우스의 띠 노정규 (2002/12/18)




링 The Ring (2002) ★★☆ - djuna (2003/01/24)
<링> 진화하지 못한 바이러스 - 윤현호 (2003/01/18)
<링> 텔레비전 두 대를 맞대놓고 싶어지다 - 이종열 (2003/01/11)




[미국판 링]-나는 언제나 영원하다- - 노정규 (2002/12/23)